제286회 의왕시의회(임시회)
의왕시의회본회의 회의록
제6호
의왕시의회사무과
일 시: 2022년7월26일(화) 09시57분~12시11분
의사일정(제6차 본회의)
1. 2022년도 주요업무추진실적 청취의 건
- 환경과, 청소과, 공원녹지과, 상하수과, 안전총괄과, 도시정책과
부의된안건
1. 2022년도 주요업무추진실적 청취의 건
- 환경과, 청소과, 공원녹지과, 상하수과, 안전총괄과, 도시정책과
(09시57분 개의)
【 의사봉 3타 】
오늘은 경제환경국 4개 과, 안전도시국 2개 과 소관 주요업무추진실적을 청취하겠습니다.
1. 2022년도 주요업무추진실적 청취의 건
그러면 의사일정 제1항 2022년도 주요업무추진실적 청취의 건을 상정합니다.
【 의사봉3타 】
먼저 환경과장님 소관업무에 대하여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22년 주요업무추진실적을 보고 드리겠습니다. 올해 환경과는 탄소중립 친환경 도시체계 구축과 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을 통한 시민 건강과 삶의 질 개선을 실천 목표로 18개 주요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93쪽 기후변화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사업입니다. 본 사업은 기후변화 공모사업에 채택되어 올해 신규사업으로 시행하게 되었습니다. 폭염, 한파 등 기후재난에 취약한 노인과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경로당 단열, 차열 그리고 창문형 에어컨 설치지원을 통한 사회안전망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총 사업비 2억9,000만원이며 국비 50% 지원받는 사업입니다. 노후경로당 8개소 쿨루프 시공을 6월 말 완료하였고 재택 거주기간이 긴 장애우와 노인거주 저소득 가정에 창문형 에어컨 305대를 7월 말까지 설치완료하고 시민만족도 조사를 10월에서 11월 실시 예정입니다.
다음 294쪽입니다. 지속가능한 물순환 체계를 구축하겠습니다. 도시 개발로 가속된 불투수 면적 증가로 하천 건천화와 지하수위 하강, 비점오염원 증가, 수생태 악화 등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으로 장래 물순환 건전성을 체계적으로 회복하기 위한 물순환 기본계획을 수립 추진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환경부에서는 비점오염 저감 국고보조사업 추진지침에 따라 사업 신청 시 물순환 기본계획 제출을 명문화하고 있어 조속한 계획수립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기본계획수립 사업비는 1억8,800만원으로 사업기간은 올해 6월 착수해서 23년 6월까지 수립하고 관련 정책을 반영한 물순환 및 저영향 개발 관련 조례를 23년 1월까지 제정 추진하겠습니다. 그린빗물인프라 조성사업 등 23년 환경부 국비확보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295쪽입니다.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수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올해 3월 25일 관련법이 제정, 시행돼서 2050 국가탄소중립계획 수립에 따른 우리시 중장기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여 국비 사업을 신청하여 사업비 8,000만원을 지원받게 되었습니다. 사업기간은 10개월로 4월 착수하여 23년 2월 완료 예정입니다. 참고로 환경부가 연내 관련 계획을 수립 예정이며 경기도는 23년 상반기 완료 예정이어서 상위계획을 반영하여 23년 2월까지 완료하겠습니다. 용역의 주요내용은 온실가스 배출 인벤토리 구축 및 배출량 산정, 10년간의 탄소중립비전 및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수립하게 됩니다.
다음 296쪽 행안부 지역균형뉴딜 공모사업으로 선정추진 중인 인공지능 전기자동차 충전기반 구축입니다. 전기차 급증에 대비한 충전시설 부족과 충전방해 행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공지능 전기충전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총 사업비 6억원 중 국비 50% 지원사업이며 충전기 및 인공지능 통합관리 시스템 10기를 충전기반이 부족한 단독과 다가구 지역에 우선 설치하고자 합니다. 주민의견 수렴을 실시해서 9개 공공기관 설치대상지를 선정하였고 7월에서 8월 중 실시설계와 사업수행업체를 선정하고 12월까지 완료하겠습니다. 충전시설 부족으로 인한 시민불편 해소와 전기차 보급을 통한 대기질 개선 및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다음 297쪽입니다. 친환경 차량 지원을 통해서 교통 분야 오염원을 저감하고 기후환경을 개선하겠습니다. 세부사업으로는 노후된 운행 경유차의 조기 폐차, 저감장치 부착 등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사업 555대에 대해서 10억7,000만원, 전기차 보급 657대에 대해서 95억1,800만 원, 수소연료 전지차 구매지원 33대 10억원, 다음 298쪽 어린이 통학차량 LPG 차량 전환으로 20대에 1억7,500만원, 천연가스 자동차 연료비 지원사업 등이 있습니다. 충전구역 불법주차로 인한 시민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인공지능 전기차 충전시스템 20기를 추가 설치하는 등 시민들이 편리하게 친환경 차량을 구매, 이용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겠습니다.
다음 299쪽입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기후변화 대응 탄소중립을 추진하겠습니다. 세부실행계획으로 2단계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50개 사업을 14개 해당 부서에서 추진하고 있으며 반기마다 이행평가를 실시, 관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공공부문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사업과 가정과 상가 온실가스 진단컨설팅, 탄소포인트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다음 300쪽입니다. 찾아가는 의왕에코학교를 초등학교 3학년에서 6학년,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10개 학교, 84학급, 2,000명에게 이론교육과 체험활동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작년 도비 50%를 지원받아 우리 시 자체 애니메이션 영상교재를 제작을 했고요, 이를 관내 학생들과 수업에 활용하면서 지역 환경에 대한 소속감과 연대감을 가지고 참여할 수 있도록 환경교육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301쪽입니다. 지속가능한 의제21 사업 추진 지원입니다. 주민공동체를 통한 지속가능한 사회비전을 실현할 수 있도록 사업비 1억4,100만원과 행정적인 업무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 11기 위원은 63명이며 10여 개 사업이 내실 있게 추진되고 있고 특히 탄소발자국 줄이기 사업과 자원순환 가계 EM 보급 등은 시민 대상 사업으로 많은 호응을 얻었습니다.
302쪽입니다. 내손 가, 나 재개발해제구역 전신주 지중화 사업은 전신주 73기와 가공배전선로 3.5km를 지중화하는 사업으로 사업비 76억 중 시부담액은 28억, 국비 13억, 한전과 통신사가 34억5,000만원을 부담 추진 중에 있습니다. 한국전력에서 설계를 완료하고 22년 7월 착공 예정이었으나 자재수급 문제로 당초 계획보다 늦은 10월 착공 예정입니다.
다음 303쪽입니다. 내손동 송전탑 지중화 사업은 동안양변전소에서 내손다구역까지 송전탑 4기 및 송전선로 1.4km를 지중화하여 주민생활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으로 내손다구역조합과 한국전력, 시 관계자가 회의를 수차례 걸쳐 사업비 389억5,000만원 중 시비는 30억, 한전은 99억7,000만원, 조합은 259억8,000만원을 부담하는 것으로 지난 5월 19일 최종 이행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 24년 말까지 계속사업으로 추진하겠습니다.
다음 304쪽 신재생에너지 사업입니다. 주택 지원사업 3,700만원이며 단독주택의 태양광 보급에 30가구 보급 예정이고 아파트와 다세대 빌라에 설치하는 미니태양광 사업은 20개소를 지원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평생학습관에 1억4,800만원 사업비 투자하여 80kW의 태양광 발전시설을 7월 말 준공 예정입니다. 신재생에너지 보급과 차세대 에너지원을 적극적으로 확충하여 시의 탄소중립 기반을 마련해 나가겠습니다.
다음 305쪽입니다. 미세먼지 배출원 저감으로 시민건강을 보호하겠습니다. 생활주변 배출원별 미세먼지 저감 체계를 구축하는 사업으로 친환경 보일러 설치 지원 1,300대에 사업비는 1억3,500만원이며 상반기 471대를 보일러 교체 지원하였습니다. 미세먼지 저감 살수차 운영은 45일을 반영하였습니다. 사업비는 2,500만원 중에 상반기 34일 운행하여 1,600만 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또한 어린이 및 노인 미세먼지 취약계층에게 마스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36,000매를 2,700만원 사업비를 확충하여 지원하였습니다.
306쪽 미세먼지 신호등 6대를 5월까지 초등학교 인근과 시민 밀집지역 도로변에 확충하여 대기 관련 시민건강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경유자동차 배출가스 무료 점검 및 저감장치 미부착 차량의 운행제한 단속카메라를 지지대 고개와 북의왕IC에 설치하여 운영 중에 있습니다.
다음 307쪽입니다. 대기 및 수질, 기타 수질오염원 등 273개 환경오염 사업장 관리와 환경오염사고 대응체계를 구축하여 신속히 대응하겠습니다. 배출시설 48개소를 점검하여 6개 위반 사업장을 적기 조치하였으며 인근 안양, 군포와 합동점검을 2회 실시하였고 향후에도 오염물질 배출사업장 등을 철저히 관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308쪽입니다. 우리 시의 생태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생태자원을 발굴하고 종의 다양성 보존을 위한 생태환경 조사 및 보호사업을 추진하겠습니다. 주요사업으로는 4억원을 확보하여 도시생태현황지도를 작성 중에 있으며 22년 12월 완료 예정입니다. 또 생태계 교란 외래식물 제거사업, 야생동물 구조·치료 사업 그리고 또 왕송호수 야생조류 등 생태조사 연구용역을 실시하여 주변지역 개발 등 여건 변화 시 관리대책 수립에 활용하도록 하겠습니다.
310쪽입니다. 시민의 생활환경 개선을 위하여 공사장 122개소의 비산먼지 및 소음 등 환경관리를 위해 상시 출장점검 중이며 행정처분 20건, 과태료 14건 조치하였습니다. 석면 건축물 제거를 감독하고 노후 슬레이트 처리 및 개량사업비 5,300만 원을 지원하겠습니다.
다음 311쪽 실내공기질 개선사업은 디지털 뉴딜 사물인터넷 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하여 유아와 어르신, 장애우 등 취약계층의 환경성질환 예방과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을 위해 추진되는 사업으로 취약계층 이용시설 공기청정기 지원 120개소 1,200만원, 실내 공기질 상시 모니터링 57개소 600만원, 실내 공기질 무료측정 및 컨설팅 110개소를 지원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음 312쪽입니다. 수질오염 총량제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21년부터 30년까지 2단계 수질오염총량 기본계획이 작년 8월에 환경부에서 승인됨에 따라 우리시와 안양시, 군포시가 안양권수질오염총량 시행계획 수립 과정에 지자체 간 협약 물량을 확정하고 운영 중에 있습니다. 배출삭감 이행평가 및 모니터링 용역을 2월에 착수하여 12월까지 실시하고 매년 할당 부하량 초과 시 조치계획을 수립하여야 합니다. 지역 개발사업의 추진과 수질총량 목표달성을 위한 삭감계획을 신중히 수립 이행하겠습니다.
313페이지입니다. 하천·호수 수질 개선 및 관리입니다. 수질개선시설을 적정 운영하고 지방하천 3개소와 소하천 5개소, 호수의 수질을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습지 관리와 오염사고에 대비하는 등 관리사업을 연중 실시하고 있으며 추진실적은 서면으로 대체하겠습니다.
다음 314쪽입니다. 체계적인 비점오염원 관리대책 추진입니다.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지역이나 대규모 사업장에 설치된 36개의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초기 강우 시 발생되는 오염원의 하천유입을 차단하여 건강한 물 환경 조성에 힘쓰겠습니다. 사업비는 준설 및 시설운영비 2억2,700만원입니다.
참고로 21년에 왕송호수 유역인 부곡동 지역은 환경부 비점오염원 관리 지역으로 신청, 21년 9월 27일 비점오염 관리지역으로 지정을 받았습니다. 지정을 받게 되면 국비 70% 지원을 받아서 비점저감대책을 수립 시행할 수 있게 됩니다.
이상으로 22년 환경과 소관 업무보고를 마치겠습니다.
박현호 의원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의왕시 관내에 석면 건축물이 좀 있죠? 보훈회관, 국민체육센터, 의왕문화원, 의왕시평생학습관 또 구 의왕시 등기소가 석면 건축물이라는 거 알고 계십니까?
김태흥 의원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우리 환경과는 사실 휴일도 반납하고 생태환경 관련된 단체에 지원 나가는데 대단히 감사하다는 말씀을 다시 한번 드리고요, 299쪽에 보면 온실가스 감축사업 있잖아요?
그거 관련돼서는 저희가 한번 추후에 논의하도록 하고요, 향후계획을 보니까 이제 비산업 부분 온실가스 이제 진단 컨설팅 관련돼서 이야기가 있는데 이게 지금 진행되고 있는 상황인가요?
그리고 그다음 페이지에 보면 우리 의왕 에코학교 운영 관련돼서인데 취지는 참 좋은 것 같습니다. 근데 이제 우려스러운 거는 뭐냐면 여러 지자체에서 비슷한 사업을 지금 수행하고 있는 걸로 제가 이제 확인한 결과는 나오거든요. 근데 모 지자체의 경우 같은 경우는 이제 강사의 대부분이 실질적으로 이제 생태 기반 전공에 편중돼 있는 걸로 알 수 있거든요. 생태환경 관련돼서만 이야기를 하는데 물론 이것도 매우 중요한데 이제 우리가 요즘에 이제 나오는 이제 기후변화에서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대응하고 적용할 수 있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이를 위한 방법을 알릴 수 있는 방법이 따로 있나요.
노선희 의원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지금 김태흥 의원님의 의견에 부가적으로 저는 이게 지금 각 단체별로 또는 부서별로 이렇게 보면 여러 환경 관련된 일들을 많이 하고 있는데 약간 느낌이 어떤 느낌이냐면 우후죽순 같은 느낌이에요. 그래서 이거를 의왕시 관내에 환경연구소라고 하는 딱 기본적인 시설이 구축되어 있어서 여기서 많은 것들이 체계적으로 운영되면 참 좋겠다는 생각이 있고요.
또 하나는 환경교육을 할 때 제가 30대부터 쭉 시작했던 건데 부모와 아이가 같이 현장에서 현장 답습하는 것만큼 충격적인 게 없어요. 아이랑 같이 현장에서 답습했던 그 충격이 아이도 그렇고 저도 그렇고 삶에서 아주 깊숙이 그게 내재돼 있거든요, 그게 생활습관으로 나오고.
예를 들어서 뭐 우리가 폐수가, 하수가 나가는 그 시설에 갔더니 하수시설에서 본 그 충격이 살면서 계속 그게 남아있더라고요. 자연스럽게 그게 실생활에 적용이 되더라고요. 그래서 혹시 프로그램 중에 부모와 아이, 특히 어린아이 그러니까 미취학아동이면 더 좋습니다. 그래서 같이 이렇게 해서 환경교육 받는 것도 충분히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그런 것도 한번 적용을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제 많은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을 하다 보니까 저희가 학교를 찾아가서 하는 과정을 했고요. 프로그램 중에 노선희 의원님께서 말씀하신 가족과 함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노선희 의원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304쪽에 신재생에너지 사업 추진에 관련돼서인데요. 내손동 체육공원에 보면 태양광 그것도 우리 환경과에서 한 거예요?
그러니까 여기만 포커싱 두지 말고 기존에 있던 그 장소가 충분히 그 시설이 시설로서 역할을 하게 둬야 되는데 이걸로 인해서 시설이 장애를 받으면 안 되거든요. 좀 살펴봐주시기 부탁드리겠습니다.
신재생에너지 지금 노선희 의원님이 말씀하신 거에 대해서 지금 설치한 지 5년 정도가 됐다는데 그럼 앞으로 교체는 언제 하나요?
끝까지 좀 잘 정리해서 마무리까지 신경 쓰셔야 주변 환경도 지금 오염이 안 되지 않겠나 싶은 생각이 듭니다.
박현호 의원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실 이 부분이 국비랑 도비매칭 사업이 거의 대부분이죠 태양광은?
한채훈 의원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302페이지하고 303페이지, 우리 내손동 구역에 지중화 사업 진행되고 있죠?
박현호 의원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노선희 의원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307쪽, 환경오염사업장 관리 및 신속한 대응체계 구축 307쪽입니다. 오전동에 지금 사실 의왕시민들이, 특히 그 주변에 사는 시민들이 가장 공포스러워하는 시멘트 공장 그다음에 페인트 공장 혹시 그쪽 환경오염의 정도를 혹시 파악하고 계신 건 있나요?
서창수 의원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서창수 의원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없습니다.” 하는 의원 있음 )
더 이상 질의가 없으므로 환경과 소관 업무에 대한 질의답변을 마치겠습니다. 환경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청소과장님 소관업무에 대하여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2년도 청소과 주요업무추진실적을 보고 드리겠습니다.
보고서 319페이지 출생신고 세대 종량제봉투 무상 지급입니다. 정부의 저출산 대책 극복의 일환으로 신생아 양육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저귀, 물티슈 등 생활폐기물 처리비용 절감과 출산에 대한 긍정적 인식 제고를 위하여 관내 출생신고 세대에 대하여 1년간 사용할 종량제봉투를 무상으로 제공하는 사업으로 사업비 540만원입니다. 금년 처음 시행한 사업이며 6월 말 현재 454세대 배부하였습니다.
다음 320페이지입니다. 올바른 쓰레기 배출을 위한 종량제봉투 개선입니다. 종량제봉투에 영어, 중국어 등 다국어를 병행표기하고 QR코드 및 픽토그램을 추가하여 쓰레기 배출 요령 및 생활폐기물 배출 요령을 홍보하고자 금년부터 종량제봉투를 개선 운영하고 있습니다.
다음 321페이지입니다. 공중화장실 음성인식 비상벨 설치입니다. 시에서 관리하는 공중화장실 56개소 중 10개소에 대하여 위급상황 시 경찰서와 직접 연결되는 음성인식 비상벨을 설치 완료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인 점검을 통해 범죄로부터 안전한 공중화장실 이용환경을 조성하겠습니다.
다음 322페이지 청결한 도시환경 조성입니다. 가로청소 및 생활쓰레기의 신속한 처리로 깨끗하고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해 사업비 125억2,300만원으로 투입인원은 가로청소 57명, 수집·운반 67명 등 총 124명입니다. 생활폐기물 수집·운반은 5개 권역으로 가로청소는 시 직영 4개 동, 대행업체 위탁 2개 동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다음 323페이지입니다. 음식물류 폐기물 종량제 선진화로 쾌적한 환경 조성입니다. RFID 개별계량종량기는 공공주택 62개 단지와 3개 빌라에 497대 설치되어 있으며 차량계량은 공동주택 33개 단지와 소형음식점 131개소에서 사용 중이며 단독지역은 음식물 종량제봉투를 이용하여 720개 수거통에 투입하고 있습니다.
추진실적으로는 2021년 환경부에서 실시한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억제 성과 평가에서 장관표창을 받았으며 금년 상반기 공동주택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경진대회를 실시하여 4개 단지에 보조금 1,800만원을 교부하였습니다. 향후에도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 억제 및 주변 환경 정비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다음 324페이지입니다. 쓰레기 무단투기 제로화 추진입니다. 청소기 동반 상시 운영 및 무단투기 단속카메라 신규 및 이동 설치로 쓰레기 무단투기를 최소화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상반기 무단투기 계도 370건, 과태료 53건에 466만원, 불법소각 과태료 11건 465만 원을 부과하였습니다.
다음 325페이지입니다. 폐기물 처리 및 배출사업장 중점 관리입니다. 현재 관내 폐기물 처리 및 배출사업장은 총 568개소이며 상반기 지도점검을 통해 위반 사업장 9개소에 대하여 과태료 2,300만원을 부과하였으며 향후 폐기물 적정 처리 및 불법 환경오염행위 근절을 위한 지도점검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겠습니다.
다음 326페이지입니다. 포일2지구 자동집하시설 운영관리입니다. 포일2지구 내 생활쓰레기 처리를 위하여 설치된 시설로서 민간업체인 브이엘네이처(주)에 2024년 12월 31일까지 3년간 위탁운영하고 있으며 금년도 위탁비는 5억9,900만원입니다. 금년 5월 시설물 현장점검을 실시하였으며 하반기 정밀안전점검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다음 327페이지입니다. 재활용센터 운영관리입니다. 재활용센터는 가나무로 20 일원에 위치한 시설로 음식물 처리시설, 재활용 선별장, 압축적환시설, 대형폐기물 파쇄시설이 있으며 이에스아이(주)와 환경에너지솔루션(주) 컨소시엄으로 민간위탁한 시설로서 금년도 운영비는 80억100만원입니다. 그동안 폐기물 압축기를 추가 설치하였으며 금년 상반기 폐기물 20,811톤을 처리하였습니다. 10월 9일 위탁기간이 만료되어 이번 286회 임시회에 상정한 민간위탁동의안에 대해서 동의해 주시면 9월 중 위탁업체를 선정하여 차질 없이 운영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328페이지입니다. 재활용 생활화 기반 조성입니다. 올바른 분리배출 문화 확산과 재활용 생활화 기반을 조성하고자 자원순환가게 1개소를 운영 중에 있으며 관내 유치원 및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자원순환교육과 아이스팩 재활용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음 329페이지입니다. 고품격 안심·쾌적 선진화장실 조성입니다. 관내 공중화장실 56개소, 개방화장실 13개소 포함입니다. 청결한 시설관리와 범죄로부터 자유로운 이용환경 조성을 위해 상반기 부곡 수변공원에 1개소를 신설하였고 백운호수 공영주차장 1개소를 리모델링하였으며 의왕경찰서와 협의하여 앞에서 보고 드린 10개소에 대해 음성인식 비상벨을 설치하였습니다. 지속적으로 시설개선과 불법촬영 점검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상 청소과 주요업무추진실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박현호 의원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일단 11번 화장실 파트 보겠습니다. 개방화장실이 실질적으로 13개네요?
지금 개인화장실을 사용할 때 지원을 해 주신다고 그랬는데 그 지원금이 어느 정도 되나요? 한 곳을 개방할 때요.
한채훈 의원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322페이지에 보면 이제 생활쓰레기 수거 처리 관련해서 질문 드리겠습니다. 혹시 지금 생활쓰레기 수거 처리하는 데 있어서 대행사업으로 진행을 하면서 예산지원을 하고 있는데 예산을 이제 내년도에 써야 되는, 예상되는 항목별로 산출해 놓은 근거들이 있으시죠?
그와 관련해서 자료도 하나 제출해 주시면 좋겠어요. 경기도 내 타 시군에서는 청소용역업체에 몇 년씩 계약을 하고 있는지 그거에 대한 자료를 제출해 주시고 그와 향후대책도 함께 제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노선희 의원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없습니다.” 하는 의원 있음 )
더 이상 질의가 없으므로 청소과 소관업무에 대한 질의답변을 마치겠습니다. 청소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공원녹지과장님 소관업무에 대하여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공원녹지과 2022년 주요업무실적을 보고 드리겠습니다.
335페이지 푸른 녹지대를 체감하는 쌈지공원 조성 사업입니다. 시민의 여가공간 및 휴식공간을 주민들에게 제공하고자 관내 유휴지를 쌈지공원으로 조성하는 사업으로 기존에 조성된 녹지와 도심의 삭막한 공공공지를 주민들이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생활밀착형 공간으로 조성하였습니다.
대상지는 오전동 산78번지, 모락로변 진달래아파트 앞 녹지와 삼동 580번지, 덕성초 맞은편 공공공지입니다. 특히 모락로변 녹지는 진달래아파트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동선, 운동기구, 수목을 식재하여 조성한 곳으로 주민들의 만족도가 상당히 높습니다.
336페이지 미세먼지 녹색필터, 초록 도시숲 조성사업입니다 가로녹지 및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지역적 특성에 적합한 도시숲 조성으로 미세먼지 및 폭염을 저감하면서 도시미관을 개선,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사업입니다. 사업내용으로는 경수대로, 고산로, 포일로에 띠녹지를 조성하였으며 백운지구 내 녹지에 수목을 식재하여 도시숲을 조성하였습니다. 또한 왕송호수공원 주차장과 캠핑장 관리사무소에 녹색 줄기식물로 그린커튼을 조성하여 열섬 형상을 완화하였습니다.
337페이지 의왕시민정원사 교육과 함께하는 도시경관 조성입니다. 식물과 정원에 대한 기본적 이해와 실무능력을 배양하고 정원문화 확산에 의의가 있습니다. 아울러 양산된 시민정원사들은 공원이나 녹지, 청사 조경 관리 등 다양한 봉사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올해 의왕 시민정원사 양성과정은 기초과정 25명, 심화과정 11명을 교육하고 있습니다.
338페이지 가로수 및 도시숲 등 유지관리입니다. 총 사업비는 24억2,300만원이며 기 조성된 가로수와 도시숲을 유지관리하기 위한 수목 가지치기, 병해충 방제, 풀 깎기, 전정 작업 등 연중 관리를 실시하고 있으며 교통섬과 국공유지를 대상으로 꽃길, 꽃밭 등을 조성하여 가로공간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339페이지 2035년 의왕 공원녹지기본계획 수립입니다. 우리시의 공원 및 녹지에 대한 바람직한 미래상과 장기적 발전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도시환경 개선 및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그 목적과 취지가 있습니다. 주요내용으로는 2020년 의왕시 도시녹지기본계획 평가, 공원녹지의 종합적인 배치와 확충방안 검토, 장기미집행도시공원 재검토 및 집행계획 수립입니다. 현재 21년 3월부터 용역집행 중이며 관련부서 협의와 시민공청회 등을 거쳐 2022년 말에 공원녹지기본계획 수립을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340페이지 자연과 도시, 시민이 함께하는 백운호수공원 조성입니다. 백운호수 근린공원은 약 64만m²이며 이 중 27만m²는 5개 지구 개발사업의 훼손지 복구사업으로 추진 중이고 미집행부지는 수변을 포함해 36만m²입니다. 훼손지 복구사업은 도시개발과에서 총괄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준공 후 우리과로 이관하여 관리하게 됩니다.
또한 미집행부지에 대한 공원조성은 보상비와 공사비를 포함해 약 1,900억원의 사업비가 소요되므로 우리시 재정사업으로는 추진이 어려워 제3기 신도시인 의왕, 군포, 안산 공동주택지구 훼손지 복구사업으로 추진하고자 합니다.
341페이지 집단취락해제지역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조성입니다.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 있던 우선해제취락에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을 소통 및 휴식공간으로 조성하여 지역주민의 주거환경 개선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장기미집행공원은 총 36개소이며 이 중 12개소는 의왕, 군포, 안산 공동주택 지구 내에 포함되어 제외하고 실질적인 집행대상은 24개소 22,814m²로 총 사업비 669억원이 소요됩니다.
이에 도로개설 여부, 주민수혜도, 형평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우선 집행할 공원 9개소를 선정하였으며 올해 3개소에 대한 실시계획인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342페이지 경기아이누리놀이터 및 공원 리모델링 사업입니다. 획일적인 놀이시설 중심의 어린이놀이터에서 재미, 호기심 등을 키울 수 있는 놀이공간의 조성과 노후화된 시설물을 보완 및 수목 보식으로 쾌적한 공원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사업대상지는 까치공원 등 8개소이며 사업비는 24억5,600만원입니다. 현재 착공하여 폐기물 처리와 자재 준비를 하고 있으며 11월 준공 예정입니다.
343페이지 산불 및 산사태 예방을 통한 재해-ZERO화 사업입니다. 2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 봄철 산불 조심 기간 동안 예방업무에 충실하여 산불 없는 우리시를 만들었으며 현재는 장마 및 호우에 대비하여 산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산사태취약지, 임도, 사방댐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또한 11월 1일부터 12월 15일까지 가을철 산불방지대책본부를 운영하여 산림을 보호하고 시민들이 여가공간을 즐길 수 있도록 산불 없는 우리시를 만들겠습니다.
344페이지 기후변화에 따른 산림의 탄소흡수원 역할 중진입니다. 조림 및 숲가꾸기를 실시하여 지속가능한 산림자원 조성 및 관리와 소나무 재선충병 및 기타 돌발해충 방제를 통한 산림자원 보호입니다. 추진실적으로는 조림사업 1ha와 소나무재선충병 예방나무주사 58ha, 돌발해충 방제 24ha를 완료하였습니다. 향후계획으로는 숲가꾸기 사업 13ha, 산림병해충 방제와 대벌레 등 돌발해충 방제를 실시하여 건전한 산림을 육성하도록 하겠습니다.
345페이지 고품질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바라산 휴양림 증설입니다. 수려한 경관과 교통접근성이 좋아 휴양림 이용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늘어나는 휴양수요에 대응하고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총 사업비는 85억이며 사업내용으로는 통나무 집 신축과 기존 건축물을 중첩하여 산림교육 및 건강증진센터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346페이지 추진실적으로는 공유재산 매입을 완료하였으며 경기도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마쳤습니다. 향후계획으로는 2022년 10월에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 상정 계획이며 자연휴양림증설기본계획 및 실시설계를 12월까지 완료하여 2023년에 휴양림 증설 공사를 추진토록 하겠습니다.
347페이지 쾌적하고 안전한 숲길 조성 관리입니다. 산림 생태계 보호와 훼손된 숲길을 체계적인 정비 관리로 안전하고 쾌적한 숲길 환경 조성을 목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숲길 현황으로는 6개 산에 139km로 둘레길 19.5km, 누리길 23.9km, 등산로 95km입니다. 추진실적으로는 먼지털이기 교체, 운동기구 설치, 둘레길 및 등산로 정비, 의왕대간 등산로 안내표지판 설치, 백운산 누리길 보행 데크 조명을 설치하였습니다.
348페이지 대상별 맞춤형 산림교육 프로그램 활성화입니다. 다양한 산림교육을 통한 시민의 정서 함양과 산림가치 인식을 제고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숲 해설, 목공예 체험, 산림치유, 유아숲체험원 등 4개 분야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바라산 휴양의 이용자에게 다양한 체험활동을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만족도가 상당히 높습니다.
이상으로 공원녹지과 2022년 주요업무추진실적 보고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박현호 의원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7번 보겠습니다.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이 있죠? 이것은 말 그대로 한동안 집행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부지가 해제되는 부지인데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중에서 향후 5년 이내에 도시공원 용지가 자동으로 해제되는 부지가 얼마나 있습니까?
노선희 의원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여기 338쪽 4번입니다. 가로수 식재하는 데는 가로수 나무 값도 있겠지만 또 인건비도 있고 이렇게 비용이 많이 들잖아요, 그죠?
그래서 우리가 업체를 선정할 때 그러한 업체의 그런 실적이 있잖아요, 그동안에 사업했던 실적 또는 여러 가지를 검토하셔야 될 것 같아요. 비용뿐만 아니라 비용에만 주력하실 게 아니라 그런 실적도 그런 경험치가 충분히 있는 업체를 해야 이런 거를 나중에 사후관리 유지할 때도 도움이 되지, 애써서 잘 식재해놓은 나무를 갖다가 그냥 그런 식으로 경험 부족한 업체가 그런 식으로 가지치기해서 애써 심은 그 돈이 다 날아가는 거 아니에요.
그러니까 그런 거 업체 선정할 때는 충분한 경력과 경험이 있는 업체를 웬만하면 금액도 중요하지만 그런 걸 좀 잘 보고 선정했으면 하고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김태흥 의원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지금 우리 노선희 의원님 말씀대로 가로수 및 도시숲 유지관리 관련된 업체 현황을 저희가 자료로 받고 싶고요, 그리고 도시숲 기간제근로자는 이 업체가 선정을 하나요, 아니면 우리 시에서 선정을 하나요?
박현호 의원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11번 보겠습니다. 바라산 자연휴양림이 있죠? 사실은 이렇게 통나무집 신축하시고 글램핑장 보수하시고 확실히 사람들이 원하는 부분에 맞춰서 잘 해주셨다고 생각하고요, 다만 아쉬운 점은 바라산 자연휴양림에 대해서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의견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주차장이 부족하고 그렇기 때문에 거의 자차를 타고서 휴양림에 가는데 주차할 공간이 없다는 의견들이 좀 많습니다. 혹시 접근성을 좀 개선할 방법이나 계획이 있으신지 여쭙고 싶습니다.
박혜숙 의원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8번이요, 놀이터 공원 리모델링 사업이요. 특히 갈미공원에 가보니까 소공연이라고 해야 되나 그런 거 설치가 돼 있더라고요. 그런 쪽에 소규모 공연이 자주 일어나나요?
그런데 제가 볼 때는 그쪽이 너무 무용지물이 아닌가, 그 좋은 공터를 이번에도 토요일 날 공연할 때 거기 공연을 이용하는 게 아니라 건너편에 그쪽에서 공연을 하더라고요, 거기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고 보이더라고요. 그래서 그쪽을 좀 더 활용할 수 있는 부분이 뭘까라고 좀 고민을 해볼 필요가 있겠다 싶어서 그쪽만 말씀을 드리는 게 아니고 다른 공원은 어차피 리모델링을 할 때 주변 주민들이 좀 더 사용할 수 있게 좀 고민을 많이 했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에서 말씀드립니다.
노선희 의원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갈미문학공원을 이번에 예산에 다시 좀 더 리모델링하는 데 비용이 예산에 있다고 하니까 다행입니다. 사실은 이름이 갈미문학공원인데 가보면 정말 이렇게 딱 느낌이 굉장히 허접하다는 느낌이 있습니다. 이게 선거 때 여기서 음악회를 했었죠? 그런데 가서 보고 깜짝 놀랐어요, 주변 상황을 보고. 그래서 너무 이게 이름답게 했으면 좋겠어요. 갈미문학공원이라는 말답게 여기가 좀 잘 이렇게 형성됐으면 좋겠습니다. 이번에 리모델링을 할 때 좀 반영돼서 했으면 좋겠고요, 그다음에 이거는 민원이어서 제가 한번 여쭤보는 건데 갈미중앙공원에 있는 분수를 아까 좀 전에 말씀하신 내동초등학교에 인근에 있는 물놀이 시설처럼 그렇게 소규모로 좀 해줄 수 없냐 하는 그런 주민들의 민원이 있어서 그러는데 가능할까요?
그런데 지금 갈미중앙공원 같은 경우에는 반도아파트, 상록아파트, 학교 옆에 있지만 주변이 다 아파트 단지여서 거리가 너무 근접합니다. 그래서 이 부분은 전체적으로 주민들의 의견을 한번 수렴해서 방안을 찾아봐야 될 것 같습니다.
노선희 의원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없습니다.” 하는 의원 있음 )
더 이상 질의가 없으므로 공원녹지과 소관 업무에 대한 질의답변을 마치겠습니다. 공원녹지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상하수과 업무팀장님 소관 업무에 대하여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상하수과 주요업무추진실적을 보고 드리겠습니다. 353쪽 수용가 중심 요금납부 행정서비스 제공입니다. 상수도 공급에 따른 요금 부과 징수 및 맑은 물 관리를 위한 재원 운영을 위하여 상수도특별회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실적으로는 매월 상하수도 요금 부과 고지 및 징수 처리와 체납 징수 등을 추진하였으며 하반기에도 재정 관리를 위하여 노력하겠습니다.
354쪽 상수도 스마트 관망관리 인프라 구축사업입니다. 수돗물 적수사고에 따른 재발방지 대책으로 실시간 수돗물 감시와 대응이 가능하도록 관망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사업입니다. 실적으로는 6월까지 실시설계용역을 완료하였고 사고발생 시 신속한 초기대응을 위한 관세척과 자동드레인 공법 선정을 위한 위원회를 개최하였으며 8월에 공사 발주하고 12월 준공 예정입니다.
다음 장입니다. 상수도 노후배수관로 개량공사입니다. 공사 위치는 오전동 찬우물1길 일원이며 4월에 착공, 7월 현재 통수 및 급수관 분기 작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10월 준공 예정입니다.
356쪽 상수도관망 전문 유지관리용역입니다. 상수도 관망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안정적인 상수도 공급 체계 구축을 위하여 실시하는 사업으로 누수 탐사 41개소와 31개소를 각각 용역 완료하였으며 22년 10월 준공 예정입니다.
다음 장입니다. 의왕정수장 신설 타당성 조사용역입니다. 21년 9월 용역 착수하였으나 22년 2월, 3월 3기 신도시를 반영한 계획 용수 사용량 산정을 위한 개발계획 상세계획 수립까지 용역을 중지하였으며 22년 10월 용역 재개 예정입니다.
358쪽 라인가압장 원격감시제어시스템 구축 공사입니다. 수동으로 감시 관리 중인 라인가압장시설에 대하여 원격감시제어함으로써 신속한 유지관리 및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공사로 지난 5월 라인가압장원격감시제어 판넬을 제작하였고 7월 말 준공 예정입니다.
359쪽 안양천 송수관 확관이설공사입니다. 안양천 일원에 대한 송수관 확관이설공사로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과 설계안전성 검토용역을 완료하였으며 7월 현재 기술자문위원회 자문 요청 중입니다. 공사기간은 22년 8월 착공으로 23년 6월 준공 예정입니다.
다음 장입니다. 내손중앙로 일원 노후송수관로 개량공사입니다. 내손동 내손중앙로 일원에 매설되어 있는 노후송수관로를 교체하여 시민에게 맑은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자 추진하는 사업으로 6월 준공 완료하였습니다.
다음 장입니다. 상수도시설물 정밀안전진단 및 성능평가 용역입니다. 추진실적으로는 정수장 및 배수지 점검과 6월 착수보고회를 개최하였으며 22년 10월 준공 예정입니다.
362쪽입니다. 청계정수장 계장제어장치 교체공사입니다. 안정적인 정수운영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청계정수장의 원격제어운영 역할을 하는 계장제어시스템의 노후화된 제품을 교체하는 공사입니다. 22년 4월 공사 착공하였으며 8월 준공 예정입니다.
363쪽입니다. 갈미배수지 저수조 개량공사입니다. 배수지 저수조의 균열 및 누수 등 노후화에 따른 개량공사로 22년 2월 착공하여 4월에 준공 완료하였습니다.
다음입니다. 왕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공사입니다. 부곡지역 내 개발사업으로 증가하는 하수의 안정적인 처리와 왕송 공공하수처리시설 용량 초과에 대비한 증설공사입니다. 20년 12월 공공하수도 설치인가에 따라 공사 착공하여 22년 11월 시험운영, 23년 3월 준공 예정입니다.
다음 장입니다. 물 재이용 관리계획 수립용역입니다. 우리시 전 지역의 물 재이용을 계획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종합적 관리계획 수립용역으로 21년 12월 용역 착수하고 22년 10월 준공 예정입니다.
다음 삼동처리분구 하수관로 분류식화공사입니다. 삼동지역 오수와 우수관로 분리를 위한 신설 및 정비로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왕송호수 수질개선 및 악취 발생 저감을 위한 목적입니다. 20년 10월 공사 착공, 22년 6월 통합건설사업 관리용역을 완료하였으며 24년 2월 준공 예정입니다.
다음 367쪽 하수도정비 기본계획 수립용역입니다. 대규모개발사업에 따른 하수처리구역 확장이 요구되고 있는 우리 시 실정을 반영하고 한강 및 지류하천의 수질 개선과 보존에 이바지하고자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21년 8월부터 22년 6월까지 기초조사 및 보고서 작성을 완료하였고 23년 2월 환경부 협의 및 승인 예정입니다.
다음 오전동 1통 일원 하수관로 정비공사입니다. 하수관로 노후화로 집중강우 시 침수발생 우려를 개선하고 하수관로 일부가 사유지를 통과하여 민원발생 해소를 위하여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21년 10월 공사 착공하여 지하매설물 확인조사를 실시하고 4월과 5월에 지장물 이설작업과 경수대로 구간 맑은내길 구간의 관로부설 작업을 완료하였습니다, 7월 준공 예정입니다.
다음 고천동 고고리길 오수관로 신설공사입니다. 22년 6월 공사 착공하였으며 10월 준공 예정입니다.
다음 하수관로 유지관리를 위한 단가공사입니다. 사업기간은 22년 1월부터 12월까지이며 하수도 소구조물 유지보수 공사, 준설공사, 하수관로 준설토 처리용역, 하수관로 CCTV 촬영조사 용역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박현호 의원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실은 업무보고에 빠져 있는 부곡중앙로 상하수관 매설공사에 대해서 현황이 어떤지 들어보고 싶습니다.
그리고 여기 의왕역 앞에 로터리에서 경찰서까지가 10월 말까지 파고 들어가야 합니다. 저희가 관로를 깔아야 되는데 공사가 늦어진 경유가 사진을 하나 보여드리겠습니다, 일반 도로개설을 할 때는 저희가 관로를 깔고 나가는 하루 작업 속도량이 150m에서 200m 정도를 깔고 나갑니다, 관거가 어떻게 됐든. 관 사이즈가 어떻게 됐든 깔고 나가는데 지금 이게 부곡중앙로랑 주변에 하고 있는 사진인데 지장매설물이 고압선로, 가스관 그리고 상수관, 기존 오수관 그리고 KT 통신선 각종 관로선이, 지하매설물이 드러나지 않는 것들이 드러나다 보니까 저희가 공사계획서는 물론 처음에 용역을 설계를 할 때 저희가 시험 굴착탑파기를 해서 기존의 관망도와 관로가 어떻게 되는지 일일이 다 조사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땅 속에 매설된 여기는 구시가지이다 보니까 관로가 실제 저희가 파악하고 있는 관망도를 예상하지 않는 그런 기존 관과 복잡한 관들이 아주 거미줄처럼 얽혀 있어요. 그러다 보니까 하루에 저희가 작업할 수 있는 양이 3m 하루 어떤 날은 1m 많이 나가면 6m 정도밖에 안 됩니다. 그래서 이 관로공사가 굉장히 어려운 공사이기 때문에 부곡중앙로에도 지금 저희가 최대한 공사구간을 빨리 끝냈지만 또 거기에 비산먼지 발생되는 부분도 저희들이 물차를 뿌릴 수 있는 부분이 한계가 있어요. 왜냐하면 아까 말씀드렸던 통신선이나 여러 가지 선들이 지나가기 때문에 일반 도로공사 하듯이 비산먼지 방지를 한다고 물을 많이 뿌리게 되면 또 부분 침하가 발생됩니다.
그래서 물 뿌리는 부분도 한계가 있다 보니까 저희가 영업하시는 분들한테 많이 안내를 드렸는데 그런 부분이 부족하다 보니까 저희가 대책을 세운 게 아시겠지만 공사안내 입간판처럼 큰 부분을 여러 개를 제작해서 이런 사진과 또 세밀하게 또 어르신들이 보실 수 있게끔 안내문구를 제작을 해서 다 다시 배치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아까 말씀드렸지만 저희가 사전에도 방문하고 안내말씀을 드렸는데 부족한 부분이 있었던 것 같아서 좀 더 세밀하게 그런 부분은 시정 조치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관망도랑 전혀 달랐으면 예측 못하는 건 당연하고요, 이게 지하공동관로를 설치하는 것도 아닌 구시가지역에서 정말 고생 많으셨고 그동안 많은 민원이 있었을 텐데 저는 이러한 지하관로의 거미줄처럼 얽힌 관망을 보니까 이해가 갑니다. 잘 임해주셨고 말씀해 주신 8월 말 그리고 10월 말까지 잘 끝내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박혜숙 의원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없습니다.” 하는 의원 있음 )
더 이상 질의가 없으므로 상하수과 소관 업무에 대한 질의답변을 마치겠습니다. 업무팀장님 수고하셨습니다.
함께 배석해 주신 이만재 국장님께도 감사드립니다.
안전총괄과장님 소관 업무에 대하여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안전총괄과 2022년 주요업무추진실적을 보고 드리겠습니다.
375페이지 코로나19 재난안전대책본부 운영입니다. 지난 20년 1월 20일 코로나19가 처음 발생된 후 정부차원의 중앙안전대책본부가 설치되고 우리시도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과 「의왕시 재난안전대책본부 설치 및 운영 조례」에 따라 20년 1월 28일부터 현재까지 시장님을 본부장으로 하여 통제관인 보건소장을 중심으로 8개 실무반을 편성 운영 중에 있습니다.
376페이지 추진실적입니다. 매일 실시하던 중앙부처, 경기도와 연계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영상회의를 감염병 단계가 2급으로 격하됨에 따라 현재는 주 2회 운영하고 있으며 감염병 예방 안내 및 확진자 발생 현황 재난 문자를 매일 발송하고 동주민센터에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방역장비, 손 소독제를 비치하여 대여 및 무료 배포하였습니다. 재난관리기금으로 손 소독제, 보건소 선별검사소 보호장비, 열화상 카메라 등을 구입 지원하였으며 소상공인 2,200개 업체에 행복지원자금 20억을 지원하였고 오미크론 확산으로 소방서, 경찰서 등 사회필수인력의 코로나 감염으로 인한 업무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감염 의심 시 즉각 검사할 수 있는 자가진단 검사키트를 지원하였습니다. 또한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따른 확진자 증가와 사회적 거리두기 장기화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에게 민생안전지원금을 지원하였습니다.
향후계획입니다. 코로나19 상황 종료 시까지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지속 운영하고 코로나19가 최초 발생한 20년 1월 20일부터 22년 6월 30일까지의 대응 기록을 백서로 발간하려고 계획하였으나 현재 재유행 진행 중임을 감안하여 9월 30일까지 기간 연장, 대응 자료를 포함한 백서 발간으로 향후 유사 발생 시에 적극 활용하겠습니다.
다음은 377페이지 시설물 안전점검 및 안전문화운동 전개입니다. 법정 시설물, 국가안전대진단 시설물 등의 안전관리와 안전점검의 날 추진으로 생활 속의 안전문화의식 정착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국가안전대진단 7개 분야 33개소와 법정관리시설물인 시특법 대상시설, 소규모 공공시설, 어린이 놀이시설, 승강기, 급경사지 3,672개소의 안전점검을 총괄하고 유선 사업장에 대한 안전관리 실태를 5회 점검하였습니다. 향후 노후시설물 안전 상태의 실태조사를 통한 제3종 시설물 지정과 행사 및 축제장 안전점검을 관계기관 또는 민관 전문가와 합동으로 점검하고 안전문화의식 정착을 위하여 매월 4일 전후로 안전점검의 날 캠페인을 실시하는 등 안전사고 예방에 노력하겠습니다.
다음은 378페이지 생활 속의 민방위 대비태세 확립입니다. 평시 비상대비 대책 구축을 위한 민방위 대응 교육훈련과 비상대비 시설 및 장비의 최적화로 비상사태에 대비하겠습니다. 현재 민방위 대원 교육훈련은 코로나19로 인해 모든 연차에 대해 사이버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총 11,052명 중 9,114명이 이수하였으며 향후 미이수자에 대하여 2차시까지 보충교육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또한 청계동주민센터 내 노후된 민방위 경보단말기를 교체하였고 방독면 590개를 신규 구입하여 총 1,2159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향후 민방위 비상급수시설의 분기별 수질검사 및 성능 점검과 경보시설 및 대피시설 등 효율적인 관리로 민방위 대비태세를 확립하겠습니다.
다음 379페이지 위기관리 대응태세 향상 및 사회복무요원 관리입니다. 국가 위기상황 대처를 통한 통합민방위대비태세 구축 및 인적, 물적 자원관리와 사회복무요원의 복무역량 지원을 통해 시민을 위한 나눔과 봉사를 실현하겠습니다. 현재 사회복무요원은 115명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가비상사태 시 군사작전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전시 정보 기능 유지를 위한 20개의 충무계획을 관리하고 있으며 51사단에 예비군 육성지원금 8,000만원을 지원하였습니다.
향후계획입니다. 을지연습을 8월 22일부터 8월 25일까지 4일간 실시하고 사회복무요원을 위해 모범사회복무요원 표창 및 특별휴가 부여, 자존감 향상 프로그램을 운영하겠습니다.
다음은 380페이지 안양천 지방하천 정비사업입니다. 안양천 인근의 공업단지와 거주지 주변의 도시하천 정비를 통해 수질개선과 홍수안전을 도모하고 자연형 친수하천 조성으로 시민들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하고자 하는 사업으로 2017년 국토교통부 제안공모로 선정된 사업입니다. 위치는 왕곡동 488-10번지 골사그네부터 군포시 경계인 애자교 인근 3.13km 구간이며 고천택지구간은 LH가 직접 수행하고 있습니다. 22년 1월 12일 착공하여 24년 7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주요계획시설물은 홍수의 상승에 따른 교량 5개소 재가설과 하천 제방, 호안 보강 등 홍수에 대비하고 주민들의 휴식공간을 제공하고자 산책로 및 자전거도로 정비, 초화류 식재를 통한 6개의 정원을 조성할 계획입니다. 안양천은 지방하천으로 관리청인 경기도와 총 사업비 협의를 통한 사업비 확보로 하천 정비 시 친수공간으로 조성하여 시민들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하겠습니다.
다음은 381페이지 새우대천 소하천 정비사업입니다. 하천 제방 유실로 주변 농경지의 침수가 빈번히 발생되어 재해 및 침수 예방과 수질 개선을 위하여 추진하는 새우대천 정비사업은 초평동 125-3번지부터 왕송호수 유입부까지 1.2km 구간에 93억원의 예산으로 21년 6월 1일 착공하여 현재 부대공사 및 마무리 공사가 진행 중으로 공정률은 92%입니다. 준공에 차질이 없도록 정비사업을 추진하겠습니다.
다음은 382쪽 금천천 소하천 정비사업입니다. 이동 378-2번지부터 0.8km 구간으로 총 사업비는 67억입니다. 4월 11일 착공하였으며 현재 철도구간에 대하여 지장물 이설을 위한 관계기관 협의 중으로 공정률은 2%입니다. 23년 12월까지 공사를 완료하겠습니다.
다음은 383쪽 하천·소하천 유지관리사업입니다. 하천 시설물의 지속적인 점검을 통해 유수 소통에 지장을 주는 위험요소 및 불법행위를 사전에 제거하고 안전한 하천환경을 조성하겠습니다. 관내 지방하천 5개소와 소하천 24개소 46.72km에 대하여 준설, 수목제거 및 예초, 폐기물 처리, 환경 정비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추진실적으로 청계천동 지방하천의 하상정리와 준설, 양지천, 능안천 등 소하천 준설, 왕곡천 산책로 조명 설치 및 식재 등 주민참여예산 5개 사업을 상반기에 추진 완료하였습니다. 향후에도 왕곡천 낙차공 정비와 소하천 수목, 관목 제고 및 준설 사업을 지속 추진하겠습니다.
다음은 384쪽 방범용 CCTV 설치입니다. 방범 취약지역에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CCTV를 확대 설치하겠습니다. 현재 생활 및 도로 방범, 주정차 쓰레기 무단 단속, 재난 감시 등 700개소에 2,334개의 CCTV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중 회전카메라가 635대, 고정카메라가 1,699대입니다. 올해 상반기에 19개소에 58대를 신규 설치하였으며 하반기에는 신규 15개소, 노후 47개를 교체하는 등 취약지역에 지속 설치하여 시민의 안전 확보 및 범죄 예방에 노력하겠습니다.
다음은 385쪽 통합안전센터 운영 관리입니다. 통합안전센터는 의왕시 전역에 설치된 CCTV 통합관리로 범법행위 단속 및 범죄 예방에 사전 대처하는 등 시민의 안전과 편의를 위한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고 있습니다. 통합안전센터는 관제운영요원 9명이 교대로 24시간 실시간 모니터링 운영 중으로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영하여 시민안전서비스 제공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386쪽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보건관리 체계 구축 및 운영입니다. 올해 1월 27일부터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어 우리시도 우리시 종사자의 산업재해와 시민 재해 예방을 위해 체계적인 안전보건관리 체계 구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중대재해 적용 및 범위 및 처벌 규정은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87쪽 중대재해 관리 대상은 중대산업재해 대상인 우리시 종사자 1,293명과 중대시민재해 관련 시설물 88개소입니다.
추진실적입니다. 법에서 명시한 전담조직 구성이 완료되었으며 안전보건 경영방침 설정과 중대재해 예방, 업무매뉴얼 작성, 상반기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이행점검을 실시하여 개선토록 하였습니다. 향후에는 우리 시 소속 사업장에서 직접 수행하는 모든 작업 설비 공정에서 부상과 질병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모든 유해 위험요인을 파악하는 등 위험성 평가를 10월까지 실시하고 하반기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이행점검을 12월까지 실시하여 중대재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이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박현호 의원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부서에서 물순환시스템을 운영하고 계시죠?
지금 현재 물순환시스템은 백운밸리에 4개소, 장안지구에 1개소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전체 물순환시스템 운영하는 이유는 개발사업으로 인해서 건천화된 하천을 살리기 위한 목적이 주를 이루고 있고요, 또한 물이 고여 있음으로 인해서 썩는 상태가 발생하기 때문에 환경오염에 대처하기 위해서 팔당에 있는 원수를 끌어다가 지금 물을 흘려보내는 그런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박혜숙 의원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노선희 의원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384쪽입니다. 방범용 CCTV 설치인데 384쪽 9번이요, 범죄사고 취약지역에 방범용 CCTV 신규 설치도 해 주시잖아요?
그래서 이제 분명히 횡단보도 신호가 파란불인데도 덤프트럭이 한가운데를 차지하고 있어가지고 그 덤프트럭 어린 아이가 지나가면 그 바퀴 키밖에 안 돼요. 그 사이사이를 신호도 안 보여서 자기가 서 있는 신호 보고 건너가거든요? 어르신들 지금 여기도 저 핸드폰에도 와 있는데 어르신들 타고 다니는 차 있잖아요. 제가 뭐라고 제가 이름을 잘 모르는데 그거 타고도 지금 그 사이사이를 가시는 장면이 찍혀서 저한테 오는 거예요.
너무너무 불안한 거예요, 정말 여기서 사고가 나서 이렇게 사후 약방문으로 대처를 하시기 전에 그쪽에 CCTV를 좀 설치해서 그거를 통해서라도 좀 그런 불법적인 걸 막을 수 없을까요?
김태흥 의원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377쪽 보면 저희가 이제 시설물 안전점검 및 안전문화운동 전개 중에 추진실적을 보면 국가안전대진단을 통한 안전점검 실시를 33개소에 하셨다고 그랬는데 하셔가지고 무슨 문제점이 발견된 게 있나요?
( “없습니다.” 하는 의원 있음 )
더 이상 질의가 없으므로 안전총괄과 소관 업무에 대한 질의답변을 마치겠습니다. 안전총괄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마지막으로 도시정책과장님 소관 업무에 대하여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지금부터 도시정책과 소관 2022년도 주요업무추진실적을 보고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393페이지입니다. 첫 번째 도시계획 기초조사 정보체계 구축입니다. 본 사업은 도시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조사정보의 체계적인 관리와 합리적인 의사결정 지원을 위하여 기초조사 정보체계를 구축하는 사업으로 2019년부터 운영이 의무화되어 2021년 4월 사업을 시작하여 올해 6월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였습니다. 용역 준공 후 1년간 하자보수기간으로 시스템 구축 및 사용자 교육 등을 지속 추진하여 내실 있는 시스템 운영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두 번째 도시계획 사전 컨설팅 운영입니다. 각종 개발사업 및 기반시설 확충사업 등에 있어 대상지 선정 등 사전검토를 거쳐 사업추진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예방하고 원활한 사업추진에 도움을 주고자 사업 시행자를 지원하는 업무로 2020년 5건, 2021년 3건이 운영되었으며 세부검토내용으로는 기본계획 및 지구단위계획 수립에 대한 검토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기반시설 확보에 대한 입지 적정성, 도시계획시설 기준 등을 검토하는 사항입니다.
이에 하반기에는 도시계획 업무이해를 돕기 위해 쉽고 자세하게 작성한 안내 자료를 전 부서에 별도 배포할 계획이며 향후 컨설팅 요청이 있을 시에도 적극 추진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세 번째 의왕도시관리계획 재정비 수립입니다. 우리시 전체 지구단위계획 구역을 대상으로 여건 변화 등을 반영하여 재정비하고자 하는 사항으로 개발제한구역에서 해제된 단절토지의 용도지역 변경, 불합리한 지구단위계획 정비,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에 대한 재검토 등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현재 도시관리계획 변경안 위반 및 주민의견 청취를 완료하였으며 관계기관 및 부서협의를 추진 중에 있습니다. 이후 공동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금년 10월 변경결정 고시할 계획입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네 번째 도시계획시설 결정 및 실시계획 인가입니다. 쾌적한 도시공간 조성을 위해 필요한 필수기반시설인 도로, 공원, 상하수도 등 도시 생활기능 유지에 필요한 시설에 대하여 시설 결정 및 실시계획인가를 추진하고 있으며 도시계획시설 기능수행에 적합하도록 규모 및 내용을 정하는 업무입니다. 2022년 6월 현재 도시계획시설 결정은 총 11건, 실시계획인가는 총 28건에 대하여 완료 또는 추진 중에 있습니다. 향후에도 협의기간 단축, 사전실무협의 및 조정, 면밀한 법적검토를 통하여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도시계획시설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다섯 번째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부지 매입입니다. 본 사업은 도시계획시설 결정고시일로부터 10년 이내에 사업이 시행되지 않은 도시계획시설 중 지목이 대인 토지에 해당되며 소유자의 매수청구 시 매수 여부를 검토하여 2년 이내에 토지를 매수하는 절차입니다. 우리시 대지보상 대상 필지 수는 총 450필지로 2002년부터 현재까지 43필지를 매수 완료하였으며 금년도는 1건에 대하여 대지보상을 완료하였으며 현재 추가접수된 토지 1건에 대해서도 보상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향후에도 매수청구 대상토지에 대한 매수절차를 적극 홍보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마지막으로 개발제한구역의 효율적 관리입니다. 우리시는 83%가 개발제한구역으로 해당지역 내 개발제한구역 관리계획 변경, 주민지원사업, 행위 허가 및 불법행위 단속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도로 개설, 재활용센터, 서울구치소, 바라산 휴양림 등 GB 내 기반시설에 대한 개발제한구역 관리계획 변경을 추진하였으며 또한 원터아랫길, 이동새말취락 도로 개설에 따른 주민지원사업을 추진하였고 행위 허가 212건, 불법행위 527건을 단속하였습니다.
이런 성과를 토대로 2021년도에는 경기도 개발제한구역 관리실태 평가 결과에서 대상을 수상하는 등 개발제한구역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개발제한구역이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도시정책과 소관 주요업무추진실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박현호 의원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5번 보겠습니다.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조정 후 향후 5년 이내에 집행하지 않아서 자동으로 해제되는 부지가 얼마나 됩니까?
저희 시설 전체는 263개소가 시설결정이 돼 있고요, 앞으로 향후 5년 내에 폐지가 될 시설은 199개소가 되겠습니다.
( “없습니다.” 하는 의원 있음 )
더 이상 질의가 없으므로 도시정책과 소관 업무에 대한 질의답변을 마치겠습니다. 도시정책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함께 배석해 주신 유승호 국장님께도 감사드립니다.
이상으로 오늘 계획된 의사일정을 모두 마쳤습니다.
제7차 본회의는 내일 오전 10시에 이 자리에서 개의하여 안전도시국 6개 과 소관 주요업무추진실적을 청취할 계획입니다.
이것으로 제286회 의왕시의회 임시회 제6차 본회의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의원 여러분! 그리고 관계공무원 여러분!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산회를 선포합니다.
【 의사봉 3타 】
(12시11분 산회)
김 학 기 의원 박 혜 숙 의원
서 창 수 의원 노 선 희 의원
김 태 흥 의원 한 채 훈 의원
박 현 호 의원
○출석공무원
경제환경국장 이 만 재 안전도시국장 유 승 호
환 경 과 장 고 일 선 청 소 과 장 정 준 모
공원녹지과장 김 형 준 업 무 팀 장 이 복 남
안전총괄과장 권 미 연 도시정책과장 이 홍 래
○서명의원
의 장 김 학 기 의 원 노 선 희
의 원 김 태 흥 사무과장 윤 재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