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의왕시의 왕송호수 인근 '파크골프장' 조성 시도 등 일방적인 시 행정추진 및 불균형한 도시개발 관련 민원 접수 요청> | |||||
---|---|---|---|---|---|
작성자 | 김** | 작성일 | 2024.10.30 | 조회수 | 270 |
안녕하십니까. 의왕시 삼동에 거주중인 주민입니다. 의왕시는 파크골프장 설립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지난 6월 백운호수 인근에 조성하려다 지역주민 반발*로 무산된 바 있습니다. * 백운 입주민여러분들의 주요 반대 사유 : 골프장 조성으로 인한 환경오염, 소수 동호인들만을 위한 시설 조성 반대 등 ** 반대결과, 백운지역 입주민 카카오톡 채널로 "파크골프장 추가 조성계획 백지화. 대신 다목적잔디광장 전체를 천연잔디로 조성해 일반시민들이 이용하도록하고, 파크골프장 조성 자리에는 테마식물원 등 가족들이 힐링할 수 있는 녹지공간으로 조성하겠다"라고 직접 메세지 발표 그런데 이렇게 백운지역에 지으려다 무산된 파크골프장이라는 시설을 우리 왕송호수 인근에 짓고자 추진하는 시도가 계속 발견되고 있습니다. 일례로 장애인어울림파크골프대회를 의왕 왕송호수공원 잔디광장에서 지난 9월 24일 개최한 바 있으며, 2025년 주요 업무 계획 보고회에는 파크골프장 조성 사업을 2025년 계획으로 삼고. 10월 29일 개최된 '제 17차 경기도 개발제한구역 정책발전 시장·군수 협의회'에서는 GB(왕송호수 인근지역 유력) 내 파크골프장 설치할수 있도록 해달라고 하는 등 지속된 시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왕역 인근 주민은 타 지역에서 좌초된 사업지들만 떠안고 책임지는 바보입니까?] 그동안 이렇게 타 지역에서 밀려나서 취소되려던 사업을 우리지역에 몰아서 추진한 사례가 한두건이 아니였습니다. 2021년, 애시당초 백운커뮤니티센터로의 이전을 추진하던 의왕도시공사 신사옥 사업이 지역주민 격렬한 반대가 있자 바로 포기하고 신사옥 설립을 부곡지역 공공청사 지역으로 몰아가듯 내버린 사례는 너무도 유명한 사례일 것입니다. 이런식으로 타 지역 반대 → 부곡지역 설립 추진으로 떠넘기듯 타 시설에서 싫어하는 시설을 받아온게 한두건이 아닙니다. 특히나 우리지역은 '국가적 전략자산'이라는 핑계로 의왕ICD가 야기하는 주민피해(포트홀, 불법정차 등)를 지속적으로 감수해야만 하도록 만들고 어떠한 지원도 하고있지 않은데 이런 상황에서 타 지역에서 보여왔던 밀접소통(SNS 개인소통 등)보다는 일방적인 추진을 통해 타 지역의 반대시설을 우리지역으로 일방적으로 몰아가는 행정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이에따라 이에 대해 공식적으로 민원을 제기하며, 의왕시의회/의왕시청/환경부 등 여러 이해당사자에 민원접수 추진하고자 합니다.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하나. 우리 의왕역 인근지역은 타 의왕지역과 너무도 비교가 될 정도로 차별적인 행정조치를 비롯해 소통이 이어지고 있다. 타 지역에선 카카오톡까지 활용하며 개인소통을 실시간으로 이어가는 것에 비해, 시장민원 접수 및 소통은 요원하며 불통으로 행정추진하는 부분에 대해 강력하게 시정하길 바란다. 둘. 의왕시 내 타 지역에서 반대하는 시설을 우리지역에 배치하는 비상식적인 행위가 지속되는 바. 이에 대해 적극 해명하고 시정하길 바란다. 특히나 의왕도시공사 사옥의 경우, 지역주민 여론조사를 통해 여론조사 결과에 따른 공유식당을 추진하기로 합의해놓고 설립 이후에는 카페로 바꾸는 등 알박기 식의 개발행위가 지속되는 바. 타 지역에서 거부하는 시설을 배치해놓고 자기 입맛대로 사유하는 행위에 대해 강력히 항의한다. 셋. 이러한 문제 발생이 지속되고 있으며, 의왕시 내 지역균형발전과 다르게 특정지역에 편중된 행정을 지속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에대해 적극 시정하고 당장 의왕역 내 해결해야 하는 이슈인 광역교통개선책 마련부터 낙후된 인프라 개선에 나서주길 바란다. 올해 발생한 위례신도시의 광역교통개선 실패 사례를 다시 반복하지 않도록 하길 바라며 위례과천선 의왕연장 뿐만 아니라 군포시가 제안한 신분당선 연장 등 철도신설에 대해 최우선적으로 검토하여 총력적으로 대응하길 바란다. |
|||||
첨부 | 조회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
다음글 | 박경호목사님의 환상과 계시 블로그를 공유합니다! |
---|---|
이전글 | 자치입법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
콘텐츠 담당자 :
전화번호 031-345-2512